[The 2nd YVIP GLOBAL Conference] Entrepreneurial Ecosystem
Friday, 14 December 2018
2018.12.14. All Day Event Session은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Silicon Valley, China, Germany, Korea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 관점에서라도 한국 기업이 변해야 할 시점이다. 국가, 정부의 역할, 경제 혁신과 사회 변화, 혁신 및 창업 생태계를 우리나라 미래를 위해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할 때이다. SESSION 1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Silicon Valley William Barnett – Stanford
- Published in YVIP
No Comments
[런치 포럼]권오현 대표 (슬로워크 대표/민주주의 활동가 협동조합 빠띠 대표)
Wednesday, 05 December 2018
2018년도 2학기 23차 런치 포럼 □ 주 제 : 기술기반 공공재로서 IT 플랫폼과 오픈소스, 그리고 플랫폼 협동조합 – 빠띠가 민주주의 플랫폼을 협동조합으로 만든 까닭 □ 일 시 : 2018년 11월 21일 11:30 ~ 13:00 □ 장 소 : 경영관 630호 □ 주 최 : 연세대학교 경영 연구소 ##더 민주적인 세상 권오현 대표
- Published in 4차 산업혁명 관련, 런치 포럼
[연구 브리프]4차 산업의 기술 분류
Monday, 06 August 2018
브리프 다운로드는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 4차산업기술분류브리프 요약 4차 산업혁명은 이전 산업혁명이 드리운 획일화, 중앙집중, 폐쇄성을 극복해 가는 혁명적 변화이다.. 그래서 맞춤, 분권, 개방의 방향성을 가진다. 가정, 직장, 도시의 모습이 정보 통신 기술을 접목해 변화 하는 방향을 뜻하는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시티의 방향도 이에 맞게 변화된다. 업체 간 개방 과 분권을 통한 주인 맞춤의 스마트홈, 다품종 소량
[해외기사]인식의 위기The Cognition Crisis Anxiety. Depression. ADHD. Dementia. The human brain is in trouble. Technology is a cause — and a solution.
Friday, 20 July 2018
[인식의 위기] 걱정. 우울증. ADHD. 백치 등 인간의 뇌는 곤경에 빠져 있음. 기술이 한 원인이며 해결책임. 지구에서의 우리의 삶은 지난 세기 동안 여러 가지 놀라운 방법으로 향상되었음. 평균적으로, 우리는 이제 더 건강하여지고 더욱 풍요롭고 학식이 풍부해졌으며 덜 폭력적이고 더 오래 살 수 있게 되었음. 이러한 전례 없는 긍정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 Published in 뉴스브리프
[해외기사] 유럽 기업, 중국의 기술 야심에 대해 우려 중
Sunday, 01 July 2018
유럽 기업, 중국의 기술 야심에 대해 우려 중 유럽 기업들은 미국뿐 만 아니라, 중국의 첨단기술(High-tech) 야심에 대해서도 깊은 우려를 하고 있음. 수요일(2018.06.20)에 발간된 리포트에서 주중 유럽연합상공회의소는 “중국제조 2025”에 대한 구성원들의 “커다란 우려”에 대해 기술함. – “중국제조 2025” 내 북경의 계획은 로봇(robotics), 전기차(electric cars), 컴퓨터 칩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 해당 산업을
[주간 뉴스] 6월 19일 – 6월 25일
Wednesday, 27 June 2018
1. 이 주의 헤드라인 기사 * [Is there a smarter path to artificial intelligence? Some experts hope so](https://www.seattletimes.com/business/is-there-a-smarter-path-to-artificial-intelligence-some-experts-hope-so/) * 인공지능을 향한 더 나은 길이 있을까? 전문가들은 그렇길 소망한다 * Recently, the hottest thing i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a branch known as deep learning. The grandly named statistical technique gives computers a way to learn
- Published in 주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