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제: 빅데이터와 개인정보: 문제점 및 해결책 □ 발 표: 김용대 교수(서울대학교 통계학과) □ 일 시: 2019년 10월 22일 12:00 ~ 13:30 □ 장 소: 경영관 403호 □ 주 최: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부속 경영연구소가 주관하는 제31회 4차 산업혁명 런치포럼이 지난 10월 22일 경영관 403호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빅데이터와 개인정보: 문제점 및 해결책’을
  □ 주 제: 인공지능 그리고 이슈들 □ 발 표: 이준기 교수(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일 시: 2019년 6월 11일 11:30 ~ 13:00 □ 장 소: 경영관 104호 □ 주 최: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부속 경영연구소가 주관하는 제30회 4차 산업혁명 런치포럼이 6월 11일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에서 ‘인공지능의 이해와 의미’ 주제로 연세대학 정보대학원 원장 이준기
□ 주 제: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이해 □ 발 표: 김선주 교수(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일 시: 2019년 5월 30일 11:30 ~ 13:00 □ 장 소: 경영관 104호 □ 주 최: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부속 경영연구소가 주관하는 제29회 4차 산업혁명 런치포럼이 5월 30일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에서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이해’ 주제로 연세대학교 컴퓨터학과 김선주
□ 주 제: 공유플랫폼 경제 □ 발 표: 이민화 교수(KAIST) □ 일 시: 2019년 5월 16일 11:30 ~ 13:00 □ 장 소: 경영관 104호 □ 주 최: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부속 경영연구소가 주관하는 제28회 4차 산업혁명 런치포럼이 2019년 5월 16일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에서 ‘공유플랫폼 경제’를 주제로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겸 카이스트 겸직교수가 발표했다.
  □ 주 제: AI와 딥러닝트렌드-과거, 현재, 미래 □ 발 표: 유응준 대표(엔비디아 코리아) □ 일 시: 2019년 4월 23일 11:30 ~ 13:00 □ 장 소: 경영관 104호 □ 주 최: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부속 경영연구소가 주관하는 제 00회 4차 산업혁명 런치포럼이 4월 23일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AI와 딥러닝트렌드’라는 주제로 엔비디아(NVIDIA)의 유응준 엔터프라이즈 대표가
  □ 주 제: 스마트시티와 한국의 미래 □ 발 표: 황종성 연구위원(한국정보화진흥원) □ 일 시: 2019년 4월 18일 11:30 ~ 13:00 □ 장 소: 경영관 104호 □ 주 최: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부속 경영연구소가 주관하는 제26회 4차 산업혁명 런치포럼이 4월 18일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스마트시티와 한국의 미래’란 주제로 한국정보화진흥원의 황종성 연구위원이 발표했다. “ 20세기에
제 25차 런치포럼 – 남형두 교수님   □ 주 제 : “신발을 위한 영화 –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IT 플랫폼 기업과 그로부터의 자유” □ 발 표 : 남 형 두 교수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 □ 일 시 : 2018년  12월 12일 11:30 ~ 13:00 □ 장 소 : 경영관  630호 □
24차 런치 포럼   □ 주 제: 미래 정보 도시 □ 발 표 :유기윤 교수 (서울대학교 건설 환경 공학부 교수/국토지리정보원 원장) □ 일 시 : 2018년 12월 5일 11:30 ~ 13:00 □ 장 소 : 경영관 630호 □ 주 최 : 연세대학교 경영 연구소   지금 세상은 전례 없는 변화 속에 있다. 이에 대해 서울대 유기윤
2018년도 2학기 23차 런치 포럼   □ 주  제 : 기술기반 공공재로서 IT 플랫폼과 오픈소스, 그리고 플랫폼 협동조합               – 빠띠가 민주주의 플랫폼을 협동조합으로 만든 까닭 □ 일 시 : 2018년 11월 21일  11:30 ~ 13:00 □  장 소 : 경영관  630호 □  주 최 : 연세대학교  경영 연구소   ##더 민주적인 세상 권오현 대표
공유경제, 4차 산업혁명, 그리고 시장경제   4차 산업 혁명으로 소유하지 않으면서도, 이용할 수 있는 재화가 늘어나 소유의 의미가 줄어들고, 이용이나 접근의 의미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공유경제(the sharing economy)를 주창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공유경제가 창출하는 자산의 유형, 소유관계, 지배구조, 나아가 공유경제가 가져올 경제체제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배타성과 경합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에 기반한
TOP